재테크/경기지표3 GICS(글로벌 산업분류기준)의 모든 것 : 기업의 산업 섹터 종류 및 분류 GICS는 Global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의 약자로 글로벌 산업분류기준입니다. GICS는 MSCI와 S&P500이 1999년에 개발한 분류 체계로, 가장 큰 부문(Sector)부터 하위 산업(Sub-Industry)까지 4단계로 분류되어 나눠집니다. 부문(Sector) > 산업 그룹(Industry Group) > 산업(Industry) > 하위 산업(Sub-Industry) 부문(Sector)은 11개, 산업 그룹(Industry Group)은 24개, 산업(Industry)은 69개, 하위 산업(Sub-Industry)은 158개로 구분되어있으며 상장된 기업들은 주요 비즈니스 활동에 따라 GICS로 분류됩니다. GICS 부문(Sector), 산업그룹(Indust.. 2022. 12. 28.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의 모든 것 : 정의, 구성, 발표, Core PCE (feat. 인플레이션) 물가지수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CPI(소비자물가지수)를 떠올리겠지만, 실제 FED(연준)이 확인하는 물가지수는 PCE(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입니다. PCE는 미국의 상무부에서 발표를하고, 정부의 지출도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FED(연준)의 인플레이션의 척도로 활용됩니다. (FED의 목표는 Core PCE 2%가 목표입니다.)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PCE는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의 약자로,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를 뜻합니다. 법인이 아닌, 가계와 민간 비영리단체들이 지출한 재화와 서비스 전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토지/건물의 구입비를 제외한 모든 것들을 지수화해서 표현한 것이 PCE 입니다. CPI는 도시 가구들을 중심으로 .. 2022. 12. 1. CPI(소비자물가지수)의 모든 것 : 정의, 구성, 발표, Core CPI (feat. 인플레이션) 경제가 많이 어려울 경우, 기업 하나하나의 실적보다는 매크로 경제가 주가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매크로 경제란, 우리말로 거시 경제라는 뜻입니다. 전반적인 소비나 투자, 저축, 국내 총생산(GDP) 등 경기지표들을 기준으로 움직이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기지표 중 하나인 소비자물가지수인 CPI(Consumer Price Index)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CPI(소비자물가지수) CPI(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소비자들의 구매 동향을 통해 인플레이션의 변동을 측정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물가 안정을 위한 FED(연준)에게는 꽤나 중요한 지표입니다. CPI(소비자물가지수)는 미국의 노동부 통계국에서 도시 가구를 중심으로 집.. 2022. 11.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