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후준비/국내 ETF 추천

[안전자산]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 : 퇴직연금 안전자산 ETF 추천, 구성종목 및 특징

by RoEn 2022. 12. 2.
반응형

개인형 퇴직연금인 IRP에서는 30% 만큼 안전자산인 채권이나 예금형 상품을 매수해야합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IRP를 통해 ETF를 매매하는 사람들은 재테크에 관심이 높아 주식형 ETF를 선호할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안전자산 30%에 주식을 못 담는 것을 아쉬워하는 사람들이 많을텐데,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 ETF로 고민을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 : 퇴직연금 안전자산 ETF 추천

올해는 투자하기 정말 어려운 해였습니다.

원래 주식과 채권은 서로의 상관성이 음의 관계가 커서, 주식이 오르면 채권이 떨어지고 채권이 오르면 주식이 떨어지는 관계였었습니다. 하지만 FED(연준)에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돈의 유동성을 회수하고, 금리를 올리면서 주식과 채권이 모두 떨어지는 해였습니다. 

 

세액공제를 위한 IRP 계좌에서는 30% 만큼의 안전자산을 보유해야합니다. 보통의 사람들은 70%는 주식형 ETF를 매수하고, 30%는 채권형 ETF를 매수할 것입니다. 다만, 올해같은 해에는 양쪽 모두 하락이 나기 때문에 안전자산이라고 할 수가 없는 것이죠. 

더군다가 주식형 ETF는 다시 빅테크 중심으로 상승기에 접어들어 하락을 만회할만큼 상승분이 나올 수 있지만, 채권형 ETF는 그만큼의 상승이 나오기 어렵습니다. 

 

이런 투자자들의 마음을 읽고 신한자산운용에서는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 상품을 출시했습니다. 

IRP의 안전자산에는 상품 내에 60% 이상이 채권이라면, 채권혼합형 ETF도 담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상품 내에 40%는 주식이어도 관계가 안전자산이라는 말입니다.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 상품의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40"이라는 숫자는 주식의 비중이 40%라는 뜻입니다. IRP 계좌 내에 안전자산으로 매수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만약 위험자산 70%는 주식형 ETF를 매수하고, 30%는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를 매수한다면, 전체 계좌 내에 주식비중을 82%까지 올릴 수 있습니다. (안전자산 30% 중 40%는 12%)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 : 구성종목 및 특징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는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 미국의 대표기업 5종목에 40% 비중으로 투자하고, 60%는 국내 단기 통안채에 투자합니다. 

 

구성종목 : 주식 40%

IRP 퇴직연금은 계좌의 특성 상, 은퇴자금을 마련해야하는 계좌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주식의 비중을 82%까지 올린다는 것은 주식 중에서도 어느정도 안정성을 가지고 가야한다는 뜻으로, 미국 대표기업 5종목을 투자하는 것은 꽤나 안정적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어느 한 기업을 가지고 가기에 리스크가 있는 이유는 1990년부터 미국의 시가총액 Top5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1990년 2000년 2010년 2022년
Exxon Mobil General Electric Exxon Mobil Apple
IBM Exxon Mobil Apple Microsoft
General Electric Pfizer Microsoft Alphabet
Altria Group Cisco Systems Berkshire Hathaway Amazon
Bristol-Myers squibb Microsoft General Electric Tesla

위 표를 보게 되면, 1990년대의 시가총액 1~5등 모두 현재는 Top5에서 이름을 감추었습니다. 

따라서 어느 한 종목만 믿고 투자하기에는 은퇴할 나이가 되는 미래에 많은 수익률을 가져오지 못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Top5에 투자하며, 구성종목을 어느정도 바꾸어준다면 더 큰 수익률을 가져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구성종목 : 채권 60%

60%는 앞서 말씀드린대로 국내 단기 통안채에 투자합니다. 

통안채는 통화 안정 채권으로 가격의 변동이 매우 미세합니다.

국내 단기 통안채
출처 : SOL ETF 블로그

위 그래프 중 파란색이 단기 통안채로, 회색이 국내 금리이고 주황색은 채권입니다. 

단기 통안채는 금리의 변화에 많이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고, 거의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는 채권으로 수익은 기대하지 않겠지만, 손실도 거의 보지 않겠다는 전략인 것 입니다. 

 

특징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의 미국주식 TOP5는 환노출이 되어있습니다. 환노출은 환율의 변동성도 반영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달러에도 투자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최근 달러가 조금 낮아지긴 했지만, 아직 1300원 정도 수준으로 높은 편입니다.)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는 상장을 11월 29일에 했기 때문에, 표면적인 운용 수수료만 알 수 있습니다. 

운용 수수료는 0.25%로 많이 높지는 않지만, 저렴하진 않은 편입니다. 

하지만, 다른 SOL ETF들과 마찬가지로 시가총액과 거래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기타비용 또한 조금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추후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 후 다시 체크해보겠습니다. 

 

SOL ETF와 S&P500, 코스피 비교
출처 : SOL ETF 블로그

마지막으로 위 그래프는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과 S&P500, 코스피를 비교한 결과입니다. 

 

수익률 측면에서는 2020년 빼고는 코스피보다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가 모두 좋았고, S&P500과 비교해서는 2018년과 2022년에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가 더 좋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채권혼합형 ETF 답게 변동성에서는 최근 5년동안 모두 S&P500과 코스피보다 변동성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 IRP 계좌의 안전자산을 위한 상품으로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를 소개해드렸는데, 수수료 등의 확인해볼 사항이 있지만 변동성이 낮고 미국의 대표기업 5개에 투자한다는 측면에서는 꽤나 매력적인 상품인 것 같습니다. 

대표이미지
대표이미지

반응형

댓글